[1] 온라인 연령확인 – 법적 프레임워크 및 우수 사례
1. 국제 연령확인 제도의 입법 배경 및 정책 방향
(1) 연령확인의 사회적 필요성 및 중요성
(2) 국제 규제 동향과 정책 대응의 필요성
(3) 기술 발전에 따른 규제 정비 필요성
2. 주요 국가의 법적 프레임워크
(1) 유럽연합(EU): GDPR과 DSA 기반의 이중 규제체계 운영
(2) 미국: COPPA 중심의 아동 보호 법제 운용
(3) 영국: Online Safety Act(2023) 기반의 연령확인 의무 강화
(4) 대한민국: 정보통신망법 및 청소년보호법에 근거한 본인확인 체계
(5) 호주: Age Assurance Taskforce(2024) 기반의 비강제 가이드라인 제시
3. 우수 사례 분석
(1) 영국: Online Safety Act 기반의 실행력 있는 규제 모델
(2) 호주: 원칙 기반의 유연한 정책 설계
(3) 캐나다: 이용자 권리 보호 중심의 저강도 규제 접근
(4) 독일: 기술 인증제 기반의 사전 위험 차단 체계
(5) 미국: COPPA 기반 아동 개인정보 보호 및 연령확인 제도
4. 연령확인과 개인정보 보호 간의 균형 이슈
(1) 고위험 인증수단 도입 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2) 비식별화 기술과 개인정보 보호기술의 대안성
(3) 데이터 최소 수집 원칙과 기술 규제의 조화 필요
5. 국내 정책에 대한 시사점 및 제언
(1) 기술중립적이고 프라이버시 친화적인 인증 제도 설계 필요성
(2) 민관 협력 기반의 연령확인 표준 개발 필요성
(3) 온라인 플랫폼 책임성과 이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간 조화 방안
[2] EU: 집행위원회, 연구 분야 생성형 AI의 책임 있는 활용에 관한 최신 지침 발표
1. EU Living Guidelines 개정 배경 및 정책 방향
(1) 생성형 AI 기술 발전에 따른 규범 정비 필요성
(2) AI Act와의 연계 및 책임 있는 연구 환경 조성
2. Living Guidelines의 주요 내용 및 보호 원칙
(1) 연구자 대상 AI 사용 기준 및 책임 범위
(2) 데이터 처리의 투명성 및 리스크 관리 지침
(3) 인간 중심성(Human Agency) 및 설명 가능성(Explainability) 확보
(4) 공정성(Fairness) 및 사회적 영향 평가
3. 개인정보 보호와 연구 활용의 균형 검토
(1) 연구 목적의 정당성 및 민감정보 보호 원칙
(2) 자율적 거버넌스를 통한 책임성 확보
4. 주요국 정책과의 비교 및 규제 동향
(1)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의 AI 연구 규범 비교
(2) 데이터 국경 간 이전 관련 규제 조화 쟁점
5. 향후 전망 및 국내 정책 시사점
(1) 국내 AI 윤리지침 및 연구 규범 재정비 필요성
(2) 개인정보 보호와 기술 혁신의 균형 전략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