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2025-2029중장기 경영목표 및 전략체계

  • 설립
    목적
  • 정보통신망의 고도화와 안전한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디지털과 관련한 대국민 지원을 효율적으로 추진
  • 미션
  •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미래사회 선도
  • 비전
  • 디지털 안심국가를 완성하는 세계 최고의 정보보호·디지털 전문기관
  • 핵심
    가치
    인재상
    • 전문:Knowledgeable(지식이 풍부한)
    • 혁신:Innovative(혁신적인)
    • 소통:Synergetic(협력형)
    • 신뢰:Accountable(책임 있는)
  • 경영
    목표
    • 사이버보안 수준
      세계 1등급
    • 공공 개인정보
      보호수준 A등급
    • 정보보호산업
      시장규모 38조원
    • 고객만족도
      최고 등급
    • 피싱피해액
      90% 감축
    • 개인정보활용산업
      시장규모 21조원
    •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18만명
    • 종합청렴도
      최고 등급
  • 전략
    방향
    • 국민과 기업이
      안심할 수 있는 디지털
      안전망 구축
    • 개인정보 보호 및
      안전활용으로 국민
      안심사회 실현
    • 정보보호산업
      경쟁력 강화로 미래
      성장동력 육성
    • 효율화 및 책임 경영
      기반의 국민 신뢰 확보
  • 전략
    과제
      • 1디지털 위협 능동적 대응 강화
        • 1디지털위협 선제적 탐지 및 조치 강화
        • 2사이버 공격 추적 및 억제
        • 3디지털 위협정보 공유 및 협력 확대
      • 2디지털 국민생활 범죄 피해 최소화
        • 4피싱범죄 피해 예방 강화
        • 5피싱범죄 피해 확산 방지
        • 6피싱범죄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제도 기반 마련
      • 3디지털 인프라 안전성 강화
        • 7국가 인터넷 인프라의 신뢰 확보
        • 8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의 보안성 제고
        • 9기업의 보안성 확보 지원 강화
      • 4 국가 전반의 개인정보 보호수준 제고
        • 10공공 개인정보 관리체계 고도화
        • 11민간 개인정보 자율보호 촉진
        • 12국민 밀접 분야 침해사고 예방·대응 강화
      • 5개인정보 안전활용 기반 조성 및 확산
        • 13전분야 마이데이터 서비스 및 인프라 고도화
        • 14개인정보안전활용 성공사례 발굴 및 확산
        • 15개인정보 보호 강화 기술 개발 및 인증 확대
      • 6국민의 개인정보 고충 최소화
        • 16디지털 서비스 이용자 보호 강화
        • 17개인정보침해 신고·상담 및 디지털 분쟁 조정 지원
        • 18개인정보안심서비스 확대 및 보호 인식 제고
      • 7정보보호가 내재화된 안전한 DX 기반 조성
        • 19공급망 보안위협 대응체계 구축 기반 마련
        • 20디지털 서비스·제품 안전성 확보
        • 21신뢰 기반 디지털 대전환 확산
      • 8정보보호산업 신성장 동력 확보
        • 22대내외 협력 기반 차세대보안기술 주도
        • 23정보보호 수요발굴 및 성장단계별 기업 육성
        • 24타켓국가중심 정보보호기업 글로벌 진출지원
      • 9사이버보안 전문인력 양성 및 정보보호 격차 해소
        • 25정보보호 핵심인력 양성 및 인력 관리플랫폼 구축
        • 26지역사회 상생협력을 통한 보안 내재화 지원
        • 27중소기업보안역량 강화 및 동반 성장 지원
      • 10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한 전환 촉진
        • 28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한 디지털 서비스 고도화
        • 29디지털 분야 민관 협력 활성화
        • 30데이터 기반의 업무 효율화 확대
      • 11국민 신뢰 기반 책임 경영 체계 확립
        • 31기관운영 효율화 중심의 혁신 경영실현
        • 32사각지대없는 청렴·윤리경영 정착
        • 33직무 중심의 합리적인 조직인사운영
      • 12ESG 중심의 지속가능 경영 확산
        • 34대내외 디지털 ESG 추진 및 확산
        • 35저출산 극복을 위한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
        • 36공감·소통 기반의 열린 경영 실천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최종수정일 :
2025-08-20
[나주본원] (58324) 전라남도 나주시 진흥길 9 한국인터넷진흥원 대표번호 : 1433-25(수신자 요금 부담) [서울청사] (05717)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 135 (가락동) IT벤처타워 [해킹ㆍ스팸개인정보침해 118] Copyright(C) 2021 KI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