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Insight 2024 Vol.03] 일상 속 권리로 다가온 사이버보안이 발간되었습니다.
아래의 문서를 통해 열람 및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요약
○ 美⋅EU는 주요 사이버보안 정책의 국가사이버안보전략 반영 및 법제화를 통해 사이버보안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 중
○ 사업자 중심 ‘보안’에서 소비자⋅이용자⋅투자자 ‘권리’로 사이버보안 진화
○ 안전성(safety), 보안성(security), 신뢰성(trustworthy), 복원력(resilience)으로 사이버보안 범위 확대
○ 중요⋅보안시스템에서 모든 소프트웨어로 사이버보안 적용 대상 확대
○ 사이버보안이 기업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필수요소로 대두
목차
Ⅰ 美⋅EU의 사이버보안 정책 동향
1-1. 美 사이버보안 정책 동향
1-2. EU 사이버보안 정책 동향
Ⅱ 일상 속 권리 사이버보안
2-1. CYBER TRUST⋅CE⋅IoT 마크
2-2. 사이버보안 결함 조치(리콜 등)
2-3. 소프트웨어 구성 명세(SBOM)
2-4. 취약점처리방침(VDP)
2-5. 피싱방지 다중인증을 통한 신원확인
2-6. 사이버보안 공시
Ⅲ 고객의 선택
Ⅳ 시사점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