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2020년 온라인광고 이용자 인식조사

담당부서
보안산업정책팀
전화
061-820-3215
이메일
등록일
2022-01-27
조회
9144


제 1 장 조사개요 1

제 1 절 조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조사개요 2
1. 조사개요 2
1) 조사대상 2
2) 조사모집단 2
3) 조사내용 2
4) 온라인광고유형 정의 4
5) 조사수행 5
6) 표본설계 6
7) 조사수행 결과 7
8) 응답자 현황 7
2. 온라인광고 시장규모 8
1) 온라인광고 산업의 개요 8
2) 온라인 매체별/유형별 온라인광고 시장규모 9

제 3 절 주요조사결과 11
1. 온라인광고 전반적인 느낌 11
2. 온라인광고 플랫폼별 선호도 12
3. 온라인광고 유형별 선호도 13
4. 온라인광고 구매 연결 14
5. 기타 온라인광고 평가 14
6. 동영상광고 차단 및 유료결제 15
7. 불편광고에 대한 인식 16
8. 비공개 협찬 광고 16
9. 주요 세부 결과 17

제 2 장 온라인광고 이용형태 19

제 1 절 응답자 정보 19

제 2 절 온라인광고 이용형태 20
1. 인터넷 이용형태 20
 1) 이용 시간 20
 2) 이용 서비스 21

제 3 절 광고 매체별 평가 23
1. 광고 접촉 매체 23
2. 최근 상품 구매 경로 24
3. 광고매체별 관심도 25
4. 광고매체별 구매이용결정 영향도 26
5. 온라인 광고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27
6. 온라인광고에 대한 필요도 28
7. 온라인광고 전반 평가 29
8. 온라인광고 주 접촉 플랫폼 31
9. 온라인광고 플랫폼별 평가 33
 1) 선호도 평가 33
 2-1) 온라인광고 플랫폼별 장점 - 포털 34
 2-2) 온라인광고 플랫폼별 장점 - 언론사 35
 2-3) 온라인광고 플랫폼별 장점 - 동영상 36
 2-4) 온라인광고 플랫폼별 장점 - SNS 37
 3-1) 온라인광고 플랫폼별 단점 - 포털  38
 3-2) 온라인광고 플랫폼별 단점 - 언론사  39
 3-3) 온라인광고 플랫폼별 단점 - 동영상포털  40
 3-4) 온라인광고 플랫폼별 단점 - SNS  41
10. 구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광고 플랫폼 42
11. 온라인광고 주 접촉 유형 44
 1) 접촉 유형 44
 2) 선호도 평가 46
 3-1) 유형별 장점 - 검색광고 47
 3-2) 유형별 장점 - 배너광고 48
 3-3) 유형별 장점 - 동영상광고 49
 3-4) 유형별 장점 - 푸시형광고 50
 3-5) 유형별 장점 - 보상형광고 51
 4-1) 유형별 단점 – 검색광고  52
 4-2) 유형별 단점 - 배너광고 53
 4-3) 유형별 단점 - 동영상광고 54
 4-4) 유형별 단점 - 푸시형광고 55
 4-5) 유형별 단점 - 보상형광고 56
12. 구매/이용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광고 유형 57
13. 광고 노출 빈도가 높은 인터넷 서비스 59
14. 무료이용 대가 61
 1) 대가 인지 여부 61
 2) 대가에 대한 인식 62
 3) 대가 허용정도 63
15. 데이터 사용 인지 여부 (모바일) 64
16. 애드블록 65
 1) 이용 여부 65
 2) 유료 애드블록 사용의향 66
 3) 지불 가능 금액 67

제 4 절 동영상 이용행태 및 광고효과 68
1. 동영상 이용행태 68
 1) 동영상 콘텐츠 이용 빈도 68
 2) 주 이용 동영상 매체 69
 3) 주 이용 동영상 장르 71
2. 동영상광고 스킵 여부 73
 1) 스킵기능 이용 이유 73
 2) 전체시청 경험 74
 3) 전체시청 이유 75
 4) 스킵불가 행동 76
3. 동영상광고 허용시간 77
 1) 일반 동영상 콘텐츠 이용시 77
 2) 선호 동영상 콘텐츠 이용시 광고 허용 시간 78
 3) 동영상광고 위치 불편 인식 79
4. 동영상광고로 인한 구매 경험 81
5. 자동재생광고 82
 1) 시청 경험 82
 2) 불편한 점 83

제 5 절 기타 온라인광고 이용행태 및 광고효과 84
1. SNS광고 84
 1) 주 사용 SNS 84
 2) 경험 여부 86
 3) 경험 유형 87
 4) 선호 유형 88
 5) 구매 경험 90
 6) 실구매 연결 플랫폼 91
 7) 실구매 연결 유형 92
2. 타겟팅 광고 93
 1) 인지 여부 93
 2) 이용경험 94
 3) 항목별 평가 95
 4) 행태정보 제공 96
 5) 국내외 개인정보 수집방식 인지여부 97
 6) 허용 정보 98
3. 위치기반광고 경험 여부 99
 1) 경험 여부 99
 2) 위치기반광고 평가 100
 4. 인앱광고(모바일)  101
 1) 인지 여부 101
 2) 경험 여부 102
 3) 선호 노출 형태 103
 4) 항목별 평가 104

제 6 절 불편광고에 대한 인식 105
1. 온라인광고 불편정도 105
2. 온라인광고 불편요소 106
3. 가장 불편했던 불편광고 유형  107
4. 가장 불편했던 불편광고 종류 108
5. 광고 닫기 경험 109
6. 불편광고 대응 110
7. 허위 및 과장 광고 대응 111
8. 불편광고 개선 112

제 7 절 기타 최근 광고 이슈 114
1. 비공개 협찬 광고 인지 여부 114
2. 비공개 협찬 광고 문제 여부 115
3. 비공개 협찬 광고 인지 후 행동 116
4 비공개 협찬 광고 규제 118

제 3 장 결론 및 제언 119

[나주본원] (58324) 전라남도 나주시 진흥길 9 한국인터넷진흥원 대표번호 : 1433-25(수신자 요금 부담) [서울청사] (05717)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 135 (가락동) IT벤처타워 [해킹ㆍ스팸개인정보침해 118] Copyright(C) 2021 KISA. All rights reserved.
Now Loading